본문 바로가기

연금

연금저축, IRP(6) ; IRP에 장기투자할 ETF, 펀드를 골라보자(1)

반응형

개인연금과 IRP 중 IRP에 투자했던 종목들이다.

20년 12월 마지막 주에 매수했고, 아래 수익 기준은 6월 첫 주다.

투자한 펀드에 대한 자세한 사항들은 각 펀드의 투자 설명서를 읽어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뭐라는지 모를 어려운 말들이 길게~길~게 쓰여 있는 게 함정이지만 말이다...)

 

개인연금과 마찬가지로 IRP도 장기투자이기에 주기적으로 리벨런싱을 해서 오른것을 팔고 떨어진것을 사서 비중을 맞춰주거나 종목교체를 해줘야 한다. 

 

1. 맥쿼리인프라 

대한민국의 인프라사업에 투자하는 회사다. 

도로, 항만, 고속도로 등등...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변동성이 작아 큰 시세 차익을 얻기는 어렵지만, 연간 약 6% 정도의 높은 배당을 하기 때문에 적금 대신 가입하기 좋은 기업이다. (근데 6개월 만에 왜 이렇게 수익률이 좋은데...) 

맥쿼리인프라 상반기 실적발표 프레젠테이션에서 발췌 (출처 : https://www.mkif.com/ko.html)

 

2. KINDEX 중국 본토 CSI300, KODEX 중국 본토 A50

둘 다 중국에 투자하는 ETF로서 중국 주식시장에 직접 투자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중국의 특성 때문이기도 하고, 잘 알지도 못하기 때문에 중국 주식에 직접 투자하기보다는 ETF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CSI300은 중국의 China Securities Index Co., Ltd.가 발표하는 지수이고, A50은 FTSE사가 산출하는 FTSE China A50 지수이다. 

사실 투자하는 입장에서 누가 어떤 지수를 발표하는 것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것 같다. 그냥 중국에 상장된 주식 중 CSI300은 대형주 300개에, A50은 대형주 50개에 투자한다고 봐도 큰 무리는 없을 것 같다.

 

3. TIGER 미국 MSCI 리츠

미국 상업용 부동산에 투자해서 성장성 + 미국 부동산 자본이득을 기대할 수 있는 부동산 리츠

https://www.tigeretf.com/upload/files/20210709101033878037.pdf

초저금리에 유동성이 풍부해서 인플레가 오는데, 한국만 봐도 부동산이 미쳐 날뛰고 있는데 미국 부동산은 멀쩡할까?

미국은 소비의 나란데, 미국 부동산이 무너지면 미국이 망하는 건데 미국 부동산이 망할까?

그래서 선택한 종목

 

4. ARIRANG 신흥국 MSCI 

MSCI 신흥국 지수에 투자하는 ETF

상위 투자 종목이랑 국가별, 산업별 비중은 아래와 같다. 

중국 비중이 많이 높지만, 전 세계에 분배해서 투자하기 위해서 선택했다. 

(혹시 중국 제외한 신흥국 지수 있으면 공유 부탁드려요)

출처 : msci.com

https://www.msci.com/documents/10199/233b6fae-a5ef-4d18-b0ec-de450c830915

반응형